728x90 전문의 멋/언어105 사자성어 35회 호사다마 알아두기 하루의 습관 안녕하세요. 네시오의 잡화점입니다. 오늘의 사자성어는 "호사다마"입니다. @ 호사다마 : 좋을 호 好, 일 사 事, 많을 다 多, 마귀 마 魔. 뜻(풀이). 좋은 일들에는 탈이 많다는 뜻입니다. 방해도 많고 탈도 많아 좋은 일이 실현되기 위해서는 많은 풍파를 겪어야 한다는 의미에서 나온 말입니다. 유래는 중국 청나라 때 조설근이 지은 홍루몽에는 이런 말이 나옵니다. "그런 홍진(번거롭고 속된 세상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세상에 즐거운 일들이 있지만 영원히 의지 할 수는 없는 일이 라며, 또 미중부족 호사다마 옥에도 티가 있다. 좋은 일에는 탈도 많이 있다."라 하였다고 합니다. 좋은 일에는 방해가 많아 방심하지 말고 늘 경계하라는 뜻입니다. 그리고 좋은 일은 오래 계속되지 않는다 합니다. 2020. 11. 1. 사자성어 34회 고군분투 알아두기 하루의 습관 안녕하세요. 네시오의 잡화점입니다. 오늘의 사자성어는 "고군분투"입니다. @ 고군분투 : 외로울 고 孤, 군사 군 軍, 떨칠 분 奮, 싸움 투(싸울 투) 鬪. 뜻(풀이). 숫자가 적은 인원 혹은 상대적으로 약한 힘으로 누구의 도움도 받지 않고 힘에 벅찬 일을 잘 해내고 있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든다면. 그 사람은 몇 년째 시험에 도전하고 있다. 올해도 고군분투하며 시험날짜만 기다린다. 전쟁에서 대규모 부대에 맞서 십여 명이서 고지를 지키느라 고군분투한다. 2020. 10. 31. 사자성어 33회 일맥상통 알아두기 하루의 습관 안녕하세요. 네시오의 잡화점입니다. 오늘의 사자성어는 "일맥상통"입니다. @ 일맥상통 : 한 일 一, 줄기 맥 脈, 서로 상 相, 통할 통 通. 뜻(풀이). 생각이나 성질, 처지나 상태, 등 다양한 면 중에 한 가지로 서로 통함을 의미합니다. 서로 비슷하다. *서로 일맥상통한 의견을 제출했다. 지금 너의 얼굴 표정을 보니 나와 일맥상통한 것 같다! 2020. 10. 30. 사자성어 32회 역지사지 알아두기 하루의 습관 안녕하세요. 네시오의 잡화점입니다. 오늘의 사자성어는 "역지사지"입니다. @ 역지사지 ; 바꿀 역(쉬울 이) 易, 땅 지 地, 생각 사(수염이 많을 새) 思, 갈 지 之. 뜻(풀이). 상대방(상대편)의 처자나 입장을 먼저 생각해 이해하는 것을 뜻합니다. 유래는 옛날 중국에 하우와 후직이라는 벼슬아치가 살고 있었습니다. 이 둘은 나랏일을 하느라 집에는 거의 가지 못하였는데, 주위에서 집에 들어가라고 해도 내가 일을 제대로 못 하면 많은 백성이 힘들 것이라고 말했다고 하는데, 훗날에 사람들은 백성을 자신의 가족보다 더 아끼고 보살펴 하우와 후직을 칭찬했습니다. 중국의 대학자 공자도 하우와 후직 그리고 제자였던 안회를 타인의 처지를 생각하며 배려하는 사람들이라며 그들을 칭송했습니다. 2020. 10. 29. 사자성어 31회 애지중지 알아두기 하루의 습관 안녕하세요. 네시오의 잡화점입니다. 오늘의 사자성어는 "애지중지"입니다. @ 애지중지 ; 사랑할 애 愛, 이 지(갈 지, 어조사 지) 之, 무거울 중 重, 이 지 之. 뜻(풀이). 요약을 하면 사람이나 사물을 사랑하고 소중히 여긴다는 말입니다. 애중과 중애와도 같이 뜻으로 쓰이는 말로 지는 사랑하고 소중히 여기는 대상(사물, 사람)을 가리키는 어조사로 매우 아끼는 것이었습니다. 난 그 게임 캐릭터를 애지중지해! 최애잖아- 2020. 10. 28. 사자성어 30회 아전인수 알아두기 하루의 습관 안녕하세요. 네시오의 잡화점입니다. 오늘의 사자성어는 "아전인수"입니다. @ 아전인수 ▶ 나 아 我, 밭 전 田, 끌 인 引, 물 수 水. "야 저 사람들 하는 짓이 아전인수 격이네!" 뜻(풀이)_ 자기 논(밭)에만 물을 끌어넣는다는 뜻입니다. 자기만의 이익을 먼저 생각하고 행동하는 것으로 기업에 대한 뉴스에서 많이 등장하곤 합니다. 2020. 10. 27. 사자성어 29회 안빈낙도 알아두기 하루의 습관 안녕하세요. 네시오의 잡화점입니다. 오늘의 사자성어는 "안빈낙도"입니다. @ 안빈낙도 : 편안할 안(편안 안) 安, 가난할 빈 貧, 즐거울 낙 樂, 길도(말할 도) 道. 뜻(풀이). 가난한 생활을 하면서도 편안한 마음으로 도를 지키며 즐긴다는 뜻입니다. 공자가 제자들에게 강조했던 정신 중의 하나였는데, 제자 중 특히 안회라는 제자가 안빈낙도를 실천했던 사람으로 알려져 있다고 했습니다. 안빈낙도 사상은 군자의 미덕을 읊었던 것으로 조선 시대의 가사나 시조에서 많이 드러나기도 했습니다. 2020. 10. 26. 이전 1 ···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728x90